이른둥이 성장 일기
한부모가정 자산·소득 기준 완전정리|예금, 자동차, 집, 부채는 어떻게 계산될까?
Bytaniq
2025. 6. 28. 16:20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 한부모 가정이 꼭 알아야 할 핵심 기준은 월 소득뿐만 아니라 보유 자산 예금, 자동차, 집뿐 아니라 부채까지 어떻게 반영되는지 이해해야 소득인정액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한부모 가정 급여 수급 기준: 소득인정액이란?
정부는 실소득에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더한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급여 지급 여부를 판단합니다.
즉, 자산이 많으면 월 소득이 적더라도 복지 수급에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
2. 자산 계산 공식과 부채 반영 방식
항목 | 내용 | 계산 방식 |
---|---|---|
금융재산 | 예금, 적금, 주식, 보험해약환급금 등 | 총액 - 기본공제(200~2,000만원) |
부동산 | 주택, 상가, 토지, 전세권 등 | 공시가격 – 부채 후 환산율 4% 적용 |
자동차 | 중고차 시세 기준 | 500만원 이하 차량은 제외 |
부채 |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 부동산 자산에서 차감 |
💡 예시: 자가 공시가 1억6천 - 전세대출 6천 = 1억 → 지역 공제 7,200만원 빼면 2,800만원만 인정
→ 이 금액에 환산율 4% × 12개월 나누면 환산소득이 됩니다.
3. A 가정 시뮬레이션
- 구성: 35세 부모 + 6세 자녀
- 자산: 대전 자가 주택, 2017년식 모닝(500만원), 예금 1,000만원, 대출 없음
항목 | 내용 | 계산 방식 |
---|---|---|
예금 | 1,000만원 | -200만원 공제 → 800만원 |
자동차 | 2017 모닝(시세 500만원) | 500만원 이하 → 반영 제외 |
자가 | 공시가격 1억6천 | -공제 7,200만원 → 8,800만원 |
✔️ 총 인정 재산: 800 + 8,800 = 9,600만원
✔️ 환산 소득: (9,600만원 × 0.04) ÷ 12 = 약 32만원/월
4. 소득인정액 계산
월 실제 소득 | 120만원 |
환산 소득 | 32만원 |
총 소득인정액 | 152만원 |
📌 2025년 기준 2인 가구 중위소득 60%는 약 208만원 → 수급 가능
5. 수급 가능 시 받을 수 있는 금액
급여 항목 | 지급 금액 | 비고 |
---|---|---|
아동양육비 | 월 20만원 | 만 18세 미만 |
추가양육비 | 월 5만원 | 5세 이하 자녀 |
학용품비 | 연 116,000원 | 초·중·고생 |
생계급여 | 월 30~60만원 | 중위소득 30% 이하 |
✅ 아동 1명 기준 최대 월 25만원 이상 수령 가능
✅ 조건 충족 시 생계급여, 교육급여도 추가 지원 가능

6. 마무리: 직접 계산이 어렵다면?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복지로 모의계산을 활용하거나 주민센터 상담이 중요합니다.
👉 복지로 모의계산 바로가기
👉 상담 시 더 완화된 기준으로 안내받는 경우도 있으니 꼭 상담받아 보세요.
#한부모가정 #소득인정액 #자산기준 #복지급여 #부채계산 #환산소득 #2025복지정책 #예금기준 #자동차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