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른둥이 성장 일기
한부모가정 지원금 받는 조건 총정리|2025년 중위소득 기준표 & 아동양육비 혜택 안내
Bytaniq
2025. 6. 29. 18:53
2025년 한부모가정 지원금 받는 조건이 어떻게 달라졌는지 궁금하신가요?
이 글에서는 중위소득 기준표를 기준으로 아동양육비, 추가급여, 차상위 혜택 등 다양한 한부모가정 복지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조건을 한눈에 정리해드립니다.
특히 한부모가정에서 자주 질문하는 소득인정액 계산 방법과 지원 가능한 중위소득 구간을 명확하게 설명하니, 신청 전 꼭 참고해 주세요!
1. 한부모가정 복지, 무조건 받을 수 있을까?
한부모가정이라고 해서 모두 같은 기준으로 복지급여를 받는 건 아닙니다.
각 급여 항목별로 적용되는 중위소득 기준이 다르기 때문에, 내가 받을 수 있는 지원이 무엇인지 정확히 알아야 합니다.
2. 항목별 복지 혜택과 소득 기준 차이
복지 항목 | 중위소득 기준 | 지원 내용 |
---|---|---|
아동양육비 | 60% 이하 | 자녀 1인당 월 20만 원 지원 |
추가아동양육비 | 60% 이하 | 5세 이하 아동 추가 5만 원 지원 |
차상위 한부모 | 52% 이하 | 공공요금·통신비 감면 등 비현금성 혜택 |
교육급여 | 50% 이하 | 교복, 학용품비, 급식비 등 교육 관련 지원 |
생계급여 | 30% 이하 | 기초생활수급 생계비 지급 |
✔️ 중위소득 60% 이하: 아동양육비 등 현금 급여 중심의 지원 대상
✔️ 중위소득 52% 이하: 차상위계층 한부모로 분류되어 공공요금·감면 혜택 대상
✔️ 30~50% 이하: 기초수급·교육급여 등 타 항목 수급 기준
3.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가구원 수 | 30% | 50% | 52% | 60% |
---|---|---|---|---|
2인 | 약 104만 원 | 약 174만 원 | 약 180만 원 | 약 208만 원 |
3인 | 약 132만 원 | 약 220만 원 | 약 232만 원 | 약 267만 원 |
4인 | 약 160만 원 | 약 267만 원 | 약 278만 원 | 약 326만 원 |
👉 내 소득인정액이 어느 구간에 해당하는지 확인하면, 어떤 급여가 가능한지 예측할 수 있습니다.
4. 자산 환산 계산법, 헷갈리셨다면?
#한부모가정지원금 #한부모가정조건 #중위소득기준표 #아동양육비 #차상위한부모 #복지로모의계산 #한부모가정혜택 #소득인정액 #2025복지정책 #복지급여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