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른둥이 성장 일기

조산아 생존율, 무엇이 결정할까?

조산아 생존율, 무엇이 결정할까?|2023년 출생통계와 체중별 생존율, 산모 요인까지 정리

최근 통계에 따르면 조산아 생존율은 의료기술의 발전으로 꾸준히 향상되고 있지만, 조산의 발생률 자체는 오히려 늘어나고 있습니다.
2023년 기준 국내 조산율은 9.1%로, 출산 10건 중 1건 가까이가 조산에 해당합니다.
이 글에서는 조산아 생존율에 영향을 주는 다양한 요인들, 출생 통계, 산모의 질병과 조산의 관계, 체중별 생존 확률을 표와 함께 자세히 정리해드립니다.

미숙아 발달 생존율, 원인, 예후

1. 조산아 출생 통계로 보는 변화

연도 전체 출생아 수 조산아 수 조산율 (%)
2020 272,400 20,000 7.3%
2021 260,500 21,500 8.3%
2022 249,200 22,300 8.9%
2023 230,000 21,000 9.1%

출처: 통계청 「출생 통계 연보」, 2020~2023

행복한 가정으로의 길

2. 조산아 생존율, 체중이 좌우한다

조산아의 생존 확률은 출생 체중에 따라 크게 달라집니다. 500g 미만으로 태어난 경우 생존율이 30%에 그치지만, 1000g 이상은 85% 이상입니다.

출생 체중 생존율 (%)
500g 미만 30%
500~749g 55%
750~999g 75%
1000~1249g 85%
1250~1499g 90%
1500~1999g 95%
2000g 이상 98%

출처: 대한신생아학회, 2022 / 국내 NICU 통계 기반

시간이 지나면 이것도 추억이 될까?

3. 산모의 건강 상태가 조산과 생존율에 미치는 영향

산모 질환 조산 위험도 조산아 예후 영향
임신성 고혈압 높음 태반 기능 저하, 성장 지연
임신성 당뇨 높음 저혈당, 호흡기 합병증 증가
조기양막파열(PPROM) 매우 높음 감염·패혈증 위험 증가
자궁경부무력증 높음 극단적 조산 가능
전치태반/태반조기박리 급성 위험 산소공급 부족, 저체중 출산

출처: 대한산부인과학회 진료지침서, 2021

떠오르는 태양, 활기찬 미래를 그리다

4. 생존율 이후가 더 중요하다

많은 부모가 “조산아 생존율은 몇 %냐”에 집중하지만, 생존 이후의 합병증과 발달 예후 역시 중요합니다.
극소저체중아(VLBW)는 다음과 같은 합병증 가능성이 높습니다.

  • 뇌실내출혈 (IVH)
  • 미숙아 망막병증 (ROP)
  • 만성 폐질환 (BPD)
  • 패혈증, 괴사성 장염 등

하지만 NICU 치료, 스테로이드 조기 투여, 영양관리, 정서적 돌봄이 함께 이뤄지면 따라잡기 성장(catch-up growth)이 가능해집니다. 숫자일 뿐이고, 희망과 믿음을 잊지 않는다면 퇴원일은 다가옵니다.


#조산아생존율 #조산율통계 #이른둥이 #출생통계 #산모질환 #미숙아예후 #NICU #따라잡기성장 #신생아생존율 #조산원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