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른둥이 성장 일기

한부모가정 자산·소득 기준 완전정리|예금, 자동차, 집, 부채는 어떻게 계산될까?

정부 지원을 받기 위해 한부모 가정이 꼭 알아야 할 핵심 기준은 월 소득뿐만 아니라 보유 자산 예금, 자동차, 집뿐 아니라 부채까지 어떻게 반영되는지 이해해야 소득인정액을 정확히 계산할 수 있습니다.

1. 한부모 가정 급여 수급 기준: 소득인정액이란?

정부는 실소득에 재산을 소득으로 환산한 금액을 더한 소득인정액을 기준으로 급여 지급 여부를 판단합니다.
즉, 자산이 많으면 월 소득이 적더라도 복지 수급에서 탈락할 수 있습니다.

2. 자산 계산 공식과 부채 반영 방식

항목 내용 계산 방식
금융재산 예금, 적금, 주식, 보험해약환급금 등 총액 - 기본공제(200~2,000만원)
부동산 주택, 상가, 토지, 전세권 등 공시가격 – 부채 후 환산율 4% 적용
자동차 중고차 시세 기준 500만원 이하 차량은 제외
부채 주택담보대출, 전세자금대출 등 부동산 자산에서 차감

💡 예시: 자가 공시가 1억6천 - 전세대출 6천 = 1억 → 지역 공제 7,200만원 빼면 2,800만원만 인정
→ 이 금액에 환산율 4% × 12개월 나누면 환산소득이 됩니다.

3. A 가정 시뮬레이션

  • 구성: 35세 부모 + 6세 자녀
  • 자산: 대전 자가 주택, 2017년식 모닝(500만원), 예금 1,000만원, 대출 없음
항목 내용 계산 방식
예금 1,000만원 -200만원 공제 → 800만원
자동차 2017 모닝(시세 500만원) 500만원 이하 → 반영 제외
자가 공시가격 1억6천 -공제 7,200만원 → 8,800만원

✔️ 총 인정 재산: 800 + 8,800 = 9,600만원
✔️ 환산 소득: (9,600만원 × 0.04) ÷ 12 = 약 32만원/월

4. 소득인정액 계산

월 실제 소득 120만원
환산 소득 32만원
총 소득인정액 152만원

📌 2025년 기준 2인 가구 중위소득 60%는 약 208만원 → 수급 가능

5. 수급 가능 시 받을 수 있는 금액

급여 항목 지급 금액 비고
아동양육비 월 20만원 만 18세 미만
추가양육비 월 5만원 5세 이하 자녀
학용품비 연 116,000원 초·중·고생
생계급여 월 30~60만원 중위소득 30% 이하

✅ 아동 1명 기준 최대 월 25만원 이상 수령 가능
✅ 조건 충족 시 생계급여, 교육급여도 추가 지원 가능

6. 마무리: 직접 계산이 어렵다면?

정확한 판단을 위해서는 복지로 모의계산을 활용하거나 주민센터 상담이 중요합니다.
👉 복지로 모의계산 바로가기
👉 상담 시 더 완화된 기준으로 안내받는 경우도 있으니 꼭 상담받아 보세요.


#한부모가정 #소득인정액 #자산기준 #복지급여 #부채계산 #환산소득 #2025복지정책 #예금기준 #자동차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