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이른둥이 성장 일기

초저체중 미숙아 출산 시 꼭 알아야 할 출산휴가·급여 지원 총정리 (2025년 기준)

🍼 초저체중 미숙아 출산 시 꼭 알아야 할 출산휴가·급여 지원 총정리 (2025년 기준)

▲ 초저체중 미숙아 출산 후 병원 모습

25주 1일차, 700g으로 태어난 아윤이 같은 초극소 미숙아를 출산한 부모라면, 꼭 챙겨야 할 출산휴가와 급여 지원 제도 정보를 정리했습니다.

1️⃣ 산모 출산전후휴가 & 급여

  • 60일 기본 휴가 제공 (다둥이 75일)
  • 첫 30일은 정부 지원 (월 최대 210만 원)
  • 고용보험 가입 180일 이상 시 신청 가능

2️⃣ 배우자 출산휴가

2024년부터 14일 유급휴가로 확대되었습니다. 고용주에게 신청하면 됩니다.

📌 팩트 체크!

정상분만, 제왕절개, 조산(조기출산) 모두 동일하게 14일 유급휴가가 적용됩니다.

3️⃣ 자영업자·프리랜서: 미적용자 출산급여

출산 후 1년 이내 신청하면, 통상임금 한도 내에서 정부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초저체중·미숙아 자체 추가 우대 없음

별도의 추가 기간이나 가산급여는 없습니다.

하지만, 낮은 체중 및 장기간 입원으로 인한 경제적 부담이 크므로, 가능한 모든 제도를 빠짐없이 챙기시길 권장합니다.

✅ 요약표

대상자 휴가 기간 급여/지원
산모 60일 (다둥이 75일), 이후 30일 첫 30일 정부 지원 (월 최대 210만 원)
배우자 14일 유급 휴가 통상임금에 따라 지급
미적용자 출산급여 1년 이내 신청 가능 통상임금 한도로 지원

▲ 입원 중인 아윤이 모습

이 글이 우리 아윤이 같은 초저체중 미숙아 부모님들께 실질적인 도움과 방향이 되기를 바랍니다.